Categories: 기본

심폐소생술(CPR) 하는 방법과 손 위치, 주의할 점 총정리

심폐소생술(Cardiopulmonary Resuscitation, CPR)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. 심장이 멈추거나 호흡이 중단되었을 때 즉시 시행하면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심폐소생술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방법, 손 위치, 그리고 주의할 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
✅ 심폐소생술(CPR)이란?

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혈액 순환과 호흡을 보조하여 뇌와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응급처치법입니다. 일반적으로 가슴압박(흉부압박)과 인공호흡을 함께 시행하지만, 일반인이 시행할 경우 가슴압박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CPR이 필요한 상황

  • 의식이 없고 반응이 없음
  • 호흡이 없거나 이상 호흡(가쁜 숨, 헐떡거림)만 보임
  • 맥박이 느껴지지 않음

🚨 주의: 심정지는 빠르게 조치하지 않으면 4~6분 이내에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즉시 CPR을 시행해야 합니다!


🔥 심폐소생술(CPR) 하는 방법

1️⃣ 반응 확인 및 구조 요청

  1. 환자의 반응 확인
    • 어깨를 가볍게 흔들며 “괜찮으세요?”라고 크게 물어봅니다.
    • 반응이 없고 호흡이 멈췄다면 즉시 CPR을 시작해야 합니다.
  2. 119 신고 및 AED 요청
    • 주변 사람에게 “119에 신고하세요!”, “자동심장충격기(AED)를 가져오세요!”라고 지시합니다.
    • 단독으로 응급처치를 해야 할 경우, 먼저 119 신고 후 CPR을 시행합니다.

2️⃣ 가슴압박(흉부압박, Chest Compression)

CPR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! 심장이 멈추면 혈액 순환을 대신하기 위해 가슴을 압박해야 합니다.

✅ 손 위치

  • 환자의 **가슴 중앙(양쪽 젖꼭지를 이은 선의 정중앙, 흉골 아래쪽 1/3 지점)**에 손을 올립니다.
  • 한 손 위에 다른 손을 겹쳐 깍지를 끼고 손바닥 밑부분(손꿈치 부분)으로 압박합니다.
  • 손가락이 흉부에 닿지 않도록 들어 올려야 합니다.

✅ 압박 방법

  • 분당 100~120회 속도로 압박 (1초에 약 2회)
  • **5~6cm 깊이(성인 기준)**로 강하고 빠르게 눌러야 합니다.
  • 압박할 때 팔꿈치를 펴고 몸의 무게를 이용하여 시행합니다.
  • 매 압박 후에는 가슴이 완전히 올라올 수 있도록 풀어줘야 합니다.

💡 참고: 손 위치가 너무 위쪽이면 가슴뼈(흉골) 위쪽을 누르게 되어 효과가 떨어지며, 너무 아래쪽이면 갈비뼈가 부러질 위험이 있습니다.


3️⃣ 인공호흡 (Mouth-to-Mouth) (선택사항)

✔ 일반인은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만 시행해도 효과적입니다. 하지만 의료인이거나 훈련을 받은 경우 인공호흡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.

✅ 인공호흡 방법

  1. 기도 확보: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밀고, 다른 손으로 턱을 들어 올려 머리를 젖힙니다. (Head Tilt-Chin Lift)
  2. 코를 막고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기 (1초 동안 천천히)
  3. 가슴이 올라가는지 확인 후 다시 시행
  4. 2회의 인공호흡 후 가슴압박 30회 반복

💡 인공호흡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가슴압박은 반드시 지속해야 합니다!


4️⃣ CPR 지속 및 자동심장충격기(AED) 사용

  • 119가 도착할 때까지 CPR을 끊임없이 계속 시행합니다.
  • 만약 **AED(자동심장충격기)**가 도착했다면, 즉시 사용합니다.

AED 사용 방법

  1. 전원을 켜고 패드(전극)를 가슴에 부착합니다.
  2. 기계의 지시에 따라 분석 중에는 환자에게 손을 대지 않습니다.
  3. **”전기 충격 버튼을 누르세요”**라는 지시가 나오면 시행합니다.
  4. 이후 즉시 CPR을 다시 시작합니다.

💡 주의: AED 사용 중에도 가슴압박을 멈추지 말고, 기계의 지시에 따라 시행해야 합니다.


🚨 심폐소생술(CPR) 시 주의할 점

1️⃣ 손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

  • 가슴 중앙에서 벗어나면 효과가 떨어지거나 갈비뼈 골절 위험 증가
  • 너무 아래를 누르면 횡경막을 눌러 위 내용물이 역류할 가능성 있음

2️⃣ 압박 깊이와 속도 조절

  • 너무 약하면 혈액 순환이 부족하고, 너무 깊으면 내부 장기가 손상될 수 있음
  • 100~120회/분 속도를 유지 (노래 ‘Stayin’ Alive’의 리듬이 적절한 속도)

3️⃣ 압박 중단 최소화

  • CPR 중단 시간은 최대한 줄여야 함 (10초 이상 중단 금지)

4️⃣ 환기 부족 방지

  • 인공호흡 시 입을 완전히 밀착해야 공기가 새지 않음
  • 필요하지 않다면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만 계속해도 충분함

5️⃣ CPR 시행 후 환자 상태 지속 확인

  • 환자가 호흡을 회복하면 회복자세(옆으로 눕힘)로 유지
  • 심정지가 계속되면 CPR을 멈추지 말고 119 도착까지 계속 시행

🏁 마무리

심폐소생술(CPR)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극적으로 높이는 응급처치법입니다. 정확한 손 위치와 올바른 압박 방법을 숙지하고, 신속하게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심폐소생술 핵심 정리!

  1.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고 119에 신고
  2. 가슴 중앙을 5~6cm 깊이로 빠르고 강하게 압박 (100~120회/분)
  3. 가능하면 인공호흡 2회 후 가슴압박 30회 반복
  4. AED가 도착하면 즉시 사용
  5. 119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CPR 시행

🚨 CPR 교육을 받아 실습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! 응급 상황에서 정확한 대처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. 💖

huniverse2

Recent Posts

안드로이드 폰 앱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 완벽 가이드

앱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업데이트 중이라 실행이 지연되거나,데이터를 아껴야 할 상황인데 Wi-Fi도 아닌데 몰래 앱이…

2주 ago

아이폰에서 앱 추적 차단하는 방법과 개인정보 보호 꿀팁

아이폰을 사용하다 보면검색한 제품이 다른 앱이나 SNS에서 바로 광고로 뜨는 경험, 한 번쯤 해보셨죠?이는 대부분…

2주 ago

스마트폰 과열 시 원인별 대처법,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

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갑자기 너무 뜨겁게 달아오르는 순간, 한 번쯤 경험하셨을 거예요.특히 여름철이나 게임, 영상…

2주 ago

아이폰 ‘이것’ 꺼두면 배터리 수명 확 늘어난다

아이폰을 아무리 아껴 써도,배터리가 너무 빨리 닳거나 1년만에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, 다들 한 번쯤…

2주 ago

아이폰 키보드 진동 켜는 방법과 끄는 방법

아이폰으로 글자를 입력할 때,키보드에 진동(햅틱 피드백)이 있으면 손끝으로 눌렀다는 느낌이 들어입력 실수가 줄고 더 기분…

3주 ago

갤럭시 폰 초기화 전에 꼭 해야 할 설정 백업 방법 알아보자

갤럭시 스마트폰을 초기화(공장초기화) 하려는 이유는 다양하죠.속도 개선, 중고 판매, 오류 해결, 기기 교체 등… 하지만…

3주 ago